1. 함축적 함수넣는 방식 => 화살표 [기존 방식] (리터럴 방식) let a = function() { //변수 a에 function이라는 함수를 만들어 넣어라 console.log("function"); } a(); [최신 방식] let a = () => { console.log("arrow function"); } a();. ---> 해설) 변수 a에 똑같이 함수를 넣는건 마찬가지이고, function이라는 키워드가 없어지는 대신 오른쪽 화살표 =>를 둡니다. (축약형으로 만드는 방식) 앱개발에서 위의 화살표 함수를 가장많이 쓰이게 됨 2. 비구조 할당 비구조 할당은 딕셔너리 키와 값을 빠르게 꺼내기 위함 //객체 let blog = { owner : "noah", url : "noahlogs.t..
0부터 n~1까지 더하는 함수를 만들고 싶다면? function get_sum(n) { // get_sum함수를 만들어 아래 변수 선언한 10값을 (n)에 넘겨 받는다 let sum = 0 //어떤 기분변수를 구하는 건데 이 기준 변수에 0부터 9까지 더하고 최종적으로 결과값은 sum에 기록됨 for (let i = 0 ; i > 다음에서 '딸기'..
// 반복문 (for문) - list와 가장 많이 쓰임 for ( let i = 0; i < 100; i++) { //for 반복문 시작 (조건을 3가지를 쓴다) //(첫번째 시작번호) 변수 i에 0번째부터 시작을 하겠다; (두번째) 0부터 100번 돌린다는 뜻 (세번째) i++ 는 앞의 조건이 돌때마다 1씩 증가시키는 기호 console.log(i); } for(1. 시작조건; 2. 반복조건 3. 더하기) { 4. 매번실행 // 조건이 해당이 되면 중괄호 안의 코드가 실행된다. (매번 실행조건) } ex)for문과 list를 같이쓰이는 예제 let scores = [ {'name':'철수', 'score':90}, {'name':'영희', 'score':85}, {'name':'민수', 'score':..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